THE DEVLOG
Next.js를 다룸에 있어서 유용한 개념과 기능들에 대한 정리입니다.
Next js를 이해하기 위한 브라우저의 렌더링 원리와 프론트엔드에서의 렌더링 전략에 대해 알아본다.
React 19는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에서만 특화되어 있던 기존 방식을 벗어나, RSC(React Server Components)를 정식 스펙으로 채택하며 다양한 기능을 도입했다.
Next JS를 설치하는 방법과 next js의 routing에 대해 다룹니다.
Next.js 앱 라우터에서의 Supabase와 Firebase를 비교합니다.
Next js의 Route Segement 파일들의 동작 원리와 실제 Action Plan에 다룹니다.
Next JS 15의 Route Handlers의 공식 문서를 번역한 내용입니다.
Next js 15의 fetch에 대해 알아보고, CDN Cache, unstable_cache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아래는 Next.js App Router에서의 Server Action 개념과 , 과 함께 쓰는 예시를 정리한 내용이다. 1. Server Action이란? 서버에서 직접 실행되는...
Route Segment Config Next.js 15에서는 각 , , 파일에서 export하는 설정값들을 통해 해당 세그먼트의 동작 방식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는 기존...
상태관리 도구인 Zustand에 대해 알아보고, Zustand의 Context 기능을 이용하여 Next.js의 SSR과 연동하는 법을 설명합니다.
Next.js 15 App Router에서 CSS-in-JS 방식 등을 대체하는 Tailwind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본다.
Supabase에 대해 설명하고, Supabase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Auth 구현 Implicit Flow vs. PKCE (Proof Key for Code Exchange) Flow 1. Implicit Flow 클라이언트가 인증 서버에 로그인...
Supabase로 간단한 TODO앱을 만들며 테이블을 생성하고, 수정하고, RLS 정책을 적용하는 방법을 다룬다. RLS 정책을 다룰 때에는 Supabase 템플릿을 우선적으로 확...
Supabase 클라이언트의 사용법과 Embedded Resource Syntax(중첩 쿼리)에 대해 정리한 게시글이다. 1. Supabase 클라이언트의 기본 사용법 Supab...
View란? 정의: PostgreSQL의 View는 하나 이상의 테이블을 조합한 가상의 읽기 전용 테이블이다. 복잡한 SELECT 쿼리를 미리 정의해서 재사용할 수 있음. Supa...
Self-Hosting with Docker Supabase 공식문서만으로는 셀프 호스팅이 부족하여 몇가지 정보를 더 찾아 정리하였다.
Next.js를 Docker 이미지로 만드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Dockerfile 작성, Docker Compose 작성, GitHub Actions에서 VPS로 직접 환경변수를 전달하는 과정이 담겨 있습니다.